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지식

(35)
[부동산 상식]농업인, 농지 안녕하세요. 행복한 공간들에 브릿z입니다. 아무래도 저는 고성군이라는 경남의 작은 촌?지역에서 부동산중개업을 하다보니 땅과 관련된 이야기를 많이 하게 되네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농지와 관련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집을 지을수 있는 땅도, 농사를 짓기 위한 땅도 시골지역은 대부분 농지이기 때문에 그것에 대해서 이야기해야 될 것 같아요.^^ 농지법과 농지법 시행령을 참고하였습니다. 농지법 제2조 용어정리에 농지의 정의를 이렇게 해두었습니다. "농지"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토지를 말한다. 가. 전ㆍ답, 과수원, 그 밖에 법적 지목(地目)을 불문하고 실제로 농작물 경작지 또는 다년생식물 재배지로 이용되는 토지. 다만, 「초지법」에 따라 조성된 초지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토지는 제외한다. 나..
[부동산 상식]지목 안녕하세요. ^^ 행복한 공간들에 브릿z입니다. 부동산 상식이란 제목으로 글을 써내려가고 있는데요. 제가 공인중개사를 하면서 부동산을 사고 팔때 알아야 할 부분들, 필요한 부분들을 이야기 해두려고 제목을 달았으나 당연히 상식처럼 알아야 되는건 아닙니다요~!!^^ 포스팅하려고 찾아보니 제가 공부할 땐 측량, 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이었는데 명칭이 바뀌어 있네요.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등에 관한 법률" 이렇게 명칭이 변경되었네요.^^ [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main.html 에 들어가셔서 법률들을 볼수 있답니다.]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에 용어 정의를 보면 지목에 대해 이렇게 정의해 뒀어요. "지목"이란 토지의 주된 용도에 따라 토지의 종류를..
[부동산 상식] 용도지역 분류와 건폐율과 용적률 안녕하세요~! 저는 '브릿z의 행복한 공간들'을 만든 블로거 브릿z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상식에 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그 중에서도 토지와 관련된 이야기를 해볼까 하는데요. 가장 기본이 되는 용도지역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대한민국의 모든 땅들은 용도지역으로 땅에 대한 규제를 해두었어요. (새롭게 발견되는 땅, 매립사업으로 새롭게 생긴 땅까지 용도지역이 다 있답니다.) 용도지역은 크게 4가지로 분류합니다. -도시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들어보셨죠?!! 이 4가지 지역들은 다시 분류가 됩니다. -도시지역은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으로 또 세분화 됩니다. -관리지역은 -계획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보전관리지역 으로 세분화 됩니다. 끝! 농림지역은 농림지역 끝! 자..